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9)
#3-3 원하는 속성이 무엇인가를 정의하는 것은 생각보다 중요하다. 우리가 문제를 대할 때, 무엇이 불만족스러운지 명확하게 인식하지 않은 채 그냥 현재 상태 전체를 불만족스러워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 그리고 불만족스러운 상황에 쫓긴 나머지, 그냥 떠오르는 대로 이것저것 바꾸어 보면서 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한다. 트리즈는 기능분석을 통하여, 문제를 대할 때 대상의 어느 속성을 어떤 속성값이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이 속성값이 어떻게 되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즉, 원하는 상태가 되는지를) 먼저 정의해 보도록 권한다. 이를 통하여 우리는 문제를 보다 객관적이며 체계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예시로 쉽게 이야기해 보자.앞서 언급했듯이 속성은 사물이 가진 여러가지 특성항목을 가리킨다. 사과를 예로 들면, 사과의 속성은 크기, 모양, 색깔, 향기, 당도, 산미..
#3-2 작용은 대상의 속성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도구가 하는 일을 말한다. 작용(Action)은 대상의 속성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도구가 하는 일을 말한다. 이런 이유로 기능분석에서 작용은 도구에서 대상으로 향하는 화살표로 표시한다. ※ 이렇게 도구-대상-작용-속성을 분별하고 화살표로 상호관계를 표시하는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이어서, 기능분석 혹은 트리즈가 문제를 이해하는 도구로서 쓰임새를 널리 인정받는 데에 큰 기여를 하였다. ※ 작용은 대상의 속성을 유지시키는 일을 하는 경우도 있다. 즉, 작용하지 않았으면 변화했을 속성을 작용함으로써 속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벽에 박힌 못은 못에 걸려있는 옷걸이의 위치를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작용은 ① 충분작용 ② 불충분(부족)작용 ③초과(과잉)작용 ④유해작용의 네가지로 나눌 수 있다.① 충분 작용은 대상의 속성을 원..
#1-8 40가지 발명원리 21~40
#1-7 40가지 발명원리 1~20 40가지 발명원리를 한 컷의 만화로 설명하는 일러스트와 함께 소개하였다. 일러스트는 쉽고 재치있게 40가지 발명원리의 개념을 소개해 주고 있어서, 일러스트 만으로도 영감을 준다. ※ 발명원리를 설명한 내용은 을 참고하였다.
#3-1 기능(Function)이란 '목적' 혹은 목적을 위해 일하는 '방법'을 말한다. 앞서 #1-6에서 이야기 한 바와 같이 트리즈는 ①모순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과 ②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분석기법의 두 가지 큰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②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분석방법에는 다시 논리적 방법과 분석적 방법이 있다. 논리적 방법의 대표는 #2에서 살펴본 살펴본 원인-결과분석(5Why)이다. 원인-결과분석은 누구나 타고나는 지적 능력과 논리력을 바탕으로, 해당 분야의 경험과 지식을 별다른 변형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기법이다.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노력을 기울인 만큼 바로바로 많은 해결의 실마리를 수확할 수 있는 강력한 장점이 있다. 분석적 방법의 대표는 기능분석(Function Analysis, FA)이다. 기능분석을 하려면 먼저 규칙을 습득해야 한다. 규칙 자체는 간단하지만,..
#2-12 원인-결과분석(5Why) 전개_7 : 선풍기 문제 해결안 도출(3) 세번째 1차 Event인 '선풍기 날개가 단단하다'에 대한 원인-분석 내용으로 해결안을 도출해 보자. 회전하는 선풍기 날개에 손가락을 치여서 상처를 입은 이유에는 선풍기 날개가 손가락보다 단단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아마 원인-결과분석을 하기 전에는 생각지도 못한 원인일 것이다. 그러나 이런 터무니 없어보이는 생각도 먼저 해 본 사람이 분명히 있었다. 그래서 우리가 더운 여름날이 되면 주변에서 얇은 스폰지 날개를 단 작은 휴대용 선풍기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위에 보인 소프트한 날개를 붙인 선풍기는 누구나 당연하게 생각하던 것에 의문을 품고 답을 내었으며, 제품화하여 성공시키기까지 하였다. 문제의 원인인 날개의 단단함을 제거함으로 날개를 둘러싸던 안전 프레임도 없앨 수 있었다. 획기적인 아이디어의 신제..
#2-11 원인-결과분석(5Why) 전개_6 : 선풍기 문제 해결안 도출(2) 두번째 1차 Event인 '손가락이 선풍기 날개가 회전하는 영역에 있었다.'에 대한 원인-분석 내용으로 해결안을 도출해 보자. 여기서의 1차 Event 문제는 '손가락이 선풍기 날개가 회전하는 영역에 있었다.' 이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이 영역의 문제는 '왜 손가락이 선풍기 날개가 회전하는 영역에 있게 되었는가'에 대한 분석이 전개되고, 어느 단계에서 해결안을 내든 결과는 '손가락이 선풍기 날개가 회전하는 영역에 있게 되지 않는' 결과를 낳게된다. 단계별로 해결안을 내기 위한 요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B), (C), (D) 는 사람의 의지에 관한 것이므로 완전한 해결안을 내기가 쉽지는 않다. 그래도 40가지 발명원리 중 11번 사전예방조치를 활용하여 해결안을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
#2-10 원인-결과분석(5Why) 전개_5 : 선풍기 문제 해결안 도출(1) '회전하는 선풍기 날개에 손가락을 치이는' 문제애 대해서 원인-결과분석(5Why)를 전개한 결과에서 해결안을 도출해 보자. Remind 하자면, 원인-결과 분석의 모든 단계에서 해결안이 제시될 수 있고, 어느 단계이든 해결안이 효과를 발휘하면 문제(Final Event)는 해결된다.   첫번째 1차 Event인 '선풍기 날개가 빠르게 회전한다.'에 대한 원인-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차 Event     : 선풍기 날개가 빠르게 회전한다.                  Why    1.1 : 왜 선풍기 날개가 빠르게 회전하는가? Cause 1.1 : 바람을 세게 하기 위해서이다.                Why    1.1.1 : 왜 바람을 세게 하는가? Cause 1.1.1 : 바람의 양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