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IZ

#2-5 원인-결과분석(5Why) : 제퍼슨 기념관의 고민_해결 아이디어 도출

원인-결과분석은 드러난 문제에서 시작하여 가장 근본적인 원인까지 결과-원인 혹은 현상-원인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의 어느 부분을 끊어도 문제는 해결된다.  Main Chain의 연결뿐 아니라 Side Chain의 연결을 끊어도 문제는 해결된다.

 

원인-결과분석을 전개하면 결과(현상)과 원인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연결을 끊는 아이디어가 기계적으로 도출된다. 

 

Why    1 : 왜 타 기념관보다 많은 외벽보수 예산이 필요한가?
Cause 1 : 외벽 외장 대리석이 타 기념관보다 더 많이, 더 자주 훼손되기 때문이다.

해결안   : 훼손이 잘 되지 않는 외벽 외장재를 사용한다. 

 

Why    2 : 왜 외장 대리석이 타 기념관보다 더 많이, 더 자주 훼손되는가?
Cause 2 : 외벽 물청소를 타 기념관보다 더 자주 하기 때문이다.

해결안   : 외벽 물청소를 자주 하지 않고 타 기념관과 비슷하게 한다.

 

등으로 기계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해결안을 구체화 하기 위해서 40가지 발명원리 등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렇게  원인-결과분석을 전개한 모든 내용에서 해결안을 낼 수 있는데, 그 중 현실적인 해결안이 될 수 있는 것을 골라서 순차적으로 구체적인 해결안으로 발전시키게 된다. 제퍼슨 기념관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다.

 

 

1. 외벽 물청소의 높은 수압 문제

 

Why    3_1 : 왜 외벽 물청소의 수압이 높은가?
Cause 3_1 : 외벽 표면에 비둘기 똥이 단단히 붙어있기 때문이다.
                             ↓
Why    4_1 : 왜 외벽 표면에 비둘기 똥이 단단히 붙어있는가?
Cause 4_1 : 비둘기 똥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표면에 붙어서 고체화 되었기 때문이다.

 

해결안 : 비둘기 똥이 고체화 되어 있지 않으면 수압을 낮출 수 있다. 고수압 물청소 전에 외벽에 물을 뿌려서 비둘기 똥을 불려두면 물청소 수압을 낮출 수 있다.

 

 

2. 비둘기 똥과 대리석의 화학적 반응 문제

 

Why    2     : 왜 외장 대리석이 타 기념관보다 더 많이, 더 자주 훼손되는가?
Cause 2_2 : 산성인 비둘기 똥이 대리석과 화학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이다.

 

해결안 1 : 산성인 비둘기 똥에 반응하지 않는 외장재를 쓰면 훼손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해결안 2 : 대리석 표면에 비둘기 똥과의 화학적 반응을 절연할 수 있는 막을 입힌다.

해결안 3 : 대리석 표면에 산성 반응에 강하도록 표면처리를 한다.

 

 

3. 비둘기들이 모이는 공간 문제


Why    5     : 왜 외벽 위 옥상 가장자리에 비둘기가 많이 모여있는가?
Cause 5_1 : 천적의 접근이 어렵고 천정이 있어서 비둘기가 밤을 보낼 수 있는 안락한 공간이 되기 때문이다.

 

해결안 1 : 그물이나 얇은 막으로 비둘기가 접근할 수 없게 한다. 

해결안 2 : 비둘기들이 모여 있기에 불편한 공간으로 만든다. (천정을 없앤다. 바닥공간을 없앤다. 등)

해결안 3 : 천적이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든다.

해결안 4 : 천적의 소리를 내어서 비둘기들이 안심하고 머무를 수 없개 한다.

해결안 5 : 기념관 외벽 옥상이 아닌 다른 곳에 더 안락한 공간을 만든다.

                 ※ 비둘기를 쫓으면 거미가 많이 생기는 또 다른 문제가 생길 것이다. 

  

 

 

4. 야간 조명 문제

 

Why    9 : 왜 거미의 먹이가 되는 나방과 곤충이 많은가?
Cause 9 : 기념관과 기념관 주변의 야간 조명이 더 밝고 많기 때문이다.

 

해결안 1 : 야간 조명의 수를 줄이거나 밝기를 낮춘다.  

해결안 2 : 야간 조명의 파장대를 나방과 곤충이 적게 모이지 않는 파장대로 바꾼다.

 

 

원인-결과분석을 전개하면 생각보다 많은 해결책이 생각보다 쉽게 도출된다. 이는 원인-결과분석전개를 통해 ① 문제를 작은 문제로 분리하고 ② 그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문제의 범위를 좁혀서 집중하고, 그 문제 현상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문제 해결을 위한 분석의 기본이다.)

 

원인-결과분석을 전개하여 도출한 해결안이 한번에 완벽한 해결안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 예를 들어 기념관 외벽 위 처마에 비둘기들이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해 그물을 설치했더니, 미관상의 문제로 관람객의 항의가 생기게 된 것과 같이 해결안은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새롭게 생긴 문제는 기존의 문제보다는 강도가 약한 문제이므로 이 또한 해결안을 내어 문제의 강도를 약하게 만들어가다보면 결국 문제의 해결에 도달하게 된다.

 

※ 트리즈는 한번에 문제를 해결하는 마법같은 방법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의 강도를 약하게 하여 계단을 밟아 올라가듯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게 된다. 문제를 파악하고 문제를 어떤 방향으로 해결해 나갈 것인지도 알려주어, 엔지니어가 포기하지 않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도움을 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나중에 다루어 보겠다.     

 

※ 우리는 흔히 제퍼슨 기념관이 주변에 있는 다른 기념관과 비교하여 문제의 원인을 찾으려고 한 것 같이 비교를 통해 문제 해결을 시도한다. 이는 빠르게 문제를 분석할 수 있는 기본적이면서도 좋은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는  '비교하여 다른 부분이 문제'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거꾸로 말하면, 비교하여 같거나 비슷하면 문제가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안심한다. 그러나, 같기 때문에 문제인 경우도 자주 있으며, 같기 때문에 문제의 원인이 되는 것은 다르기 때문에 문제의 원인이 되는 경우보다 훨씬 찾기 어렵다는 점이 고약하다. 제퍼슨 기념관의 사례에서는 야간 조명이 다른 기념관보다 밝은데 거미의 개체수는 비슷했다. 달라야 하는데 다르지 않은 것도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것도 문제 해결에 있어서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