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7) 썸네일형 리스트형 #2-8 원인-결과분석(5Why) 전개_3 : 문제의 구성요소는 같은 시간, 같은 공간에 존재해야 한다. 그러면 문제와 관계된 구성요소(주연배우)와 문제 근처에 있지만 문제에 관계되지는 않은 요소는 어떻게 구별해 낼 수 있을까? 그것은 '문제현상과 관계된 구성요소는 같은 시간, 같은 공간에 존재한다.'는 원리를 활용하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행자와 차, 어느 하나라도 그 시간에 그 장소에서 그 행동을 하지 않았다면 결과는 달라졌을 것이라는 것을 상기하자. 일단 분석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주연배우가 되는 구성요소를 찾아서 문제현상을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분리하여 첫번째 전개를 한다. 실제로 해 보면 첫번째 전개를 한 뒤에는 이후 전개가 쉬워짐을 알게 될 것이다. 앞서 예를 든 횡단보도 사고의 원인-결과분석 전개를 통해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한 분석의 효과를 알아보자.사고가 우연히 한 번 정도 일어난 일이 아.. #2-7 원인-결과분석(5Why) 전개_2 : 문제의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하위사건을 분리할 수 있다. 문제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통하여 MECE하게 원인-결과분석(5Why)을 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의 사례를 생각해 보자. '길을 건너던 보행자가 차에 치여 다쳤다. 보행자는 보행신호로 아직 바뀌기 않았는데도 급히 횡단보도를 건넜고, 차는 정시신호로 바뀌기 전에 횡단보도를 지나가기위해 빠르게 통과하다가 보행자를 피하지 못하고 치었다.' 앞에서 살펴 본 대로 문제를 정의해 보면 문제현상 : 보행신호가 들어오기 전에 횡단보도를 건너던 보행자를 횡단보도를 빠르게 통과하던 차가 치었다. 가 된다. 그런데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문제현상(Final Event)'을 좀 더 들여다보면, 이 문제를 이루는 필수적인 요소가 보인다. 바로 '보행자'와 '차'이다. 이들은 문제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이자, 문제현상.. #2-5 원인-결과분석(5Why) : 제퍼슨 기념관의 고민_해결 아이디어 도출 원인-결과분석은 드러난 문제에서 시작하여 가장 근본적인 원인까지 결과-원인 혹은 현상-원인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의 어느 부분을 끊어도 문제는 해결된다. Main Chain의 연결뿐 아니라 Side Chain의 연결을 끊어도 문제는 해결된다. 원인-결과분석을 전개하면 결과(현상)과 원인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연결을 끊는 아이디어가 기계적으로 도출된다. Why 1 : 왜 타 기념관보다 많은 외벽보수 예산이 필요한가? Cause 1 : 외벽 외장 대리석이 타 기념관보다 더 많이, 더 자주 훼손되기 때문이다.해결안 : 훼손이 잘 되지 않는 외벽 외장재를 사용한다. Why 2 : 왜 외장 대리석이 타 기념관보다 더 많이, 더 자주 훼손되는가? Cause 2 : 외벽 물청소를 타 .. #2-4 원인-결과분석(5Why) : 제퍼슨 기념관 문제 분석전개 제퍼슨 기념관의 외벽보수 비용예산 문제를 원인-결과분석 혹은 5 Why를 전개하였다. 편의상 가장 길게 Why-Cause(원인-결과) 연결을 이루는 경로를 Main Chain이라하고, Main Chain에서 곁가지처럼 뻗어 나간 경로를 Side Chain이라 하겠다.. 원인-결과분석 전개_Main Chain 문제 : 타 기념관보다 많은 외벽보수 예산이 필요하다. Why 1 : 왜 타 기념관보다 많은 외벽보수 예산이 필요한가?Cause 1 : 외벽 외장 대리석이 타 기념관보다 더 많이, 더 자주 훼손되기 때문이다. ↓Why 2 : 왜 외장 대리석이 타 기념관보다 더 많이, 더 자주 훼손되는가?Cause 2 : 외벽 물청소를 타 기념관보다.. #2-3 원인-결과분석(5Why) : 제퍼슨 기념관의 고민_2 기념관 측은 '과다한 보수비용의 원인을 찾는 것을 계속할 것인가' 아니면 '더 이상의 원인을 찾는 것은 중단하고 보수비용 예산을 추가확보하는 것에 더 노력할 것인가'를 놓고 고민을 했다. 기념관 측도 두번째 의견이 일리가 있다고 느끼고, 행정처에 보수비용 예산을 추가해 줄 수 있는지를 물어보았다. 대답은 "No"였다. 예산의 추가확보가 상당히 어렵겠다는 느낌을 주는 단호한 회답이었다. 기념관 측은 '비둘기 개체 수 문제는 우리 일이 아니'라는 마음의 장벽을 넘어 원인파악을 통한 문제해결이라는 방향으로 계속 나아가기로 하였다. 먼저 비둘기가 기념관 주변에 모이지 않게 해 보기로 하였다. 타 기념관에서는 관광객들이 비둘기에게 먹이를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었다. 제퍼슨 기념관에서도 관광객들이 비둘기에게 먹.. #2-2 원인-결과분석(5Why) : 제퍼슨 기념관의 고민_1 제퍼슨 기념관은 워싱턴 기념탑, 링컨 기념관 등과 함께 미국 건국 과정과 역사적 인물을 기념하는 내셔널 몰을 이루고 있는 주요 기념관이다. 다른 기념관들처럼 제퍼슨 기념관도 아름다운 풍경과 외관으로 유명하고, 미국 국내외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관광지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러한 제퍼슨 기념관에 문제가 생겼다. 기념관의 대리석 외벽보수비용 예산이 타 기념관에 비하여 과다하게 청구되고 있는 것이 상위 행정처에 감지된 것이다. 행정처에서는 처음에는 실제로 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예산을 청구하는 횡령이 아닌가 의심하였다. 그래서 감사팀을 보내 조사를 진행해 보았는데, 예상과 달리 실제로 외벽 보수가 진행되었으며, 없는 보수공사에 대해 거짓으로 예산을 지출하는 것은 아니었다. 그 다음에 행정처는 보수.. #2-1 원인-결과분석(5Why) : 제퍼슨 기념관 사례 개요 원인-결과 분석의 사례로 흔히 드는 사례가 제퍼슨 기념관의 외벽부식 문제이다. 그런데, 인터넷 등에서 찾게되는 내용은 외벽부식→비둘기→거미 →나방 →조명으로 간단하게 이어지는 영혼없는 분석 이야기 뿐이다. 그러나, 실제 문제에 있어서는 그렇게 간단하게 문제가 분석되고 해결되지 않는다. (아마도 원인-결과분석(혹은 5Why, 혹은 Cause Effect Chain Analysis)로 문제 해결을 시도해 보지 않은 분이 설명을 써 놓지 않았나... 하고 조심스럽게 추측해 본다.) 국제트리즈협회 한국교육센터 홈페이지의 칼럼에는 좀 더 현실성 있는 설명이 있다.https://mtckr.com/%ea%b7%bc%eb%b3%b8%ec%9b%90%ec%9d%b8%eb%b6%84%ec%84%9d-%ec%a0%9c%e.. #1-6 트리즈는 ①모순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과 ②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분석 방법의 두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는 트리즈를 ①모순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과 ②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분석 방법으로 두개의 큰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본다. 두가지 중 ①모순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은 주로 알트슐러와 그의 친구들에 의해 태동하고 발전해 온 Classic 트리즈 영역이 많고 ②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분석방법은 트리즈가 서구의 컨설팅 기법들과 만난 후 만들어진 현대 트리즈('Contemporary TRIZ') 영역이 많다. ②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분석방법에는 다시 논리적 방법과 분석적 방법이 있다. 논리적 방법의 대표는 5 Why라고도 하는 원인-결과분석이다. 원인-결과분석은 누구나 타고나는 지적 능력과 논리력을 바탕으로 해당 분야의 경험과 지식을 별다른 변형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기법이기 때문에 쉽게 사용할 수 있으..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