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트리즈를 ①모순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과 ②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분석 방법으로 두개의 큰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본다.
두가지 중 ①모순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은 주로 알트슐러와 그의 친구들에 의해 태동하고 발전해 온 Classic 트리즈 영역이 많고 ②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분석방법은 트리즈가 서구의 컨설팅 기법들과 만난 후 만들어진 현대 트리즈('Contemporary TRIZ') 영역이 많다.
②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분석방법에는 다시 논리적 방법과 분석적 방법이 있다.
논리적 방법의 대표는 5 Why라고도 하는 원인-결과분석이다. 원인-결과분석은 누구나 타고나는 지적 능력과 논리력을 바탕으로 해당 분야의 경험과 지식을 별다른 변형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기법이기 때문에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노력을 기울인 만큼 바로바로 많은 해결의 실마리를 수확할 수 있는 강력한 장점이 있다.
분석적 방법의 대표는 기능분석(Function Analysis, FA)이다. 기능분석을 하려면 먼저 규칙을 습득해야 한다. 규칙 자체는 간단하지만, 현실 문제에 적용하여 의미있는 결과를 얻으려면 어느정도 숙련된 실력을 키워야 한다. 분석하는 사람의 실력에 결과가 많이 좌우되는 기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어느정도 숙련되면 기능분석을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문제를 해석하고 원인을 찾아내고, 무엇을 어떻게 하여 문제를 해결할 지에 대하여 엔지니어링 측면에서 명료하게 발견낼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트리즈는 모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이므로 모순 문제에 대해 촛점을 두어 생각해 보는 것도 시사점을 준다. 문제를 분석하게 되면 그 결과로 모순의 형태로 문제가 도출되는데 논리적 방법으로 분석하면 서술형식의 모순이 도출되고, 분석적 방법으로 분석하면 기능분석의 문법에 따라 도구-대상-작용의 형식으로 도출된다.
'TRIZ'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원인-결과분석(5Why) : 제퍼슨 기념관의 고민_1 (0) | 2025.01.19 |
---|---|
#2-1 원인-결과분석(5Why) : 제퍼슨 기념관 사례 개요 (2) | 2025.01.16 |
#0-2 겐리흐 알트슐러 (0) | 2025.01.05 |
#1-4 모순 (0) | 2025.01.05 |
#1-3 문제의 종류 (0) | 2025.01.05 |